유통기한이 지난 음식 먹을 수 있다 유통기한과 소비(사용)기간의 차이
얼마전 방송에 나온 내용이지요.
유통기한이 얼마남지 않은 식품이 저렴하게 나왔다. 먹을 수 있을까?
정답은 먹을 수 있다입니다.
특정제품은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을 따로기제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유통기한만 표시되어 있습니다.
유통기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기준으로 확인하고 구매하는 기한이죠.
이는 제품의 변질유무를 상관하지 않고 유통,판매할 수 있는 기한입니다.
이날까지 유통해라. 판매해라.
하는 기준이지요. 이 기준이 지난다고해서 바로 상하거나 그렇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선 이것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바로 폐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어느정도의 기간은 괜찮다고 합니다.
하지만 잘 상하는 제품은 최대한 빨리 처리한느게 좋을 듯 합니다.
소비기한(사용기한)
사용이 가능한 기한으로 이 기한이 표시된 제품이 있고 아닌 제품이 있습니다.
보통 유통기한이 지난다고 해도 어느정도 사용해도 되는 기한을 이야기하죠.
유통기한은 유통과 판매를 제한하는것처럼 사용기한에 대한에 대한 제한은 없습니다.
이 소비기한역시 정해진 것은 거의 없다고 합니다.
이 소비기한이 표시된 제품은 이 기한이 지난다면 변질이 될 확률이 높기때문에 먹거나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 소비기한이 지난 음식물을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소비기한이 표기되지 않는 제품은 유통기한을 그 기준으로 보고, 그 이후를 기준으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
-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음식이 바로 상하지는 않지만 이때는 빨리 처리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소비기한이 적힌 제품은 그 기한이 넘었다면 폐기하는 게 좋습니다.
보통의 경우 우유는 유통기한이 지나도 1~3일가량은 괜찮다고 하고 다른 제품은 1주일이나 2주도 괜찮은 제품이 많다고 합니다.
이는 기본 유통기한기간의 총 기간에 어느정도 대입을 하는게 좋다고 하네요.
1주일 유통기한이라면 반나절 안에 1년이 유통기한이라면 2주정도... 이런식으로 판단해서 먹기도 합니다만 이는 소비자의 선택일 뿐입니다. 꼭 이렇게 진행되리라는 보장이 없으니 먹기전에 확인해고 먹는 것을 추천합니다.
'정보 모음 > 생활/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층간소음이웃사이센터] 층간소음 신고하는 방법 절차 (6) | 2013.07.06 |
---|---|
여성안심택배 이용방법 및 무인택배보관함 설치지역 (0) | 2013.07.05 |
대구 경북대학 1500원 뒷고기집 [황제 뒷고기] (0) | 2013.06.29 |
[초대용 아이디] 카카오톡 게임 초대 이벤트 쉽게 미션하는 방법 (0) | 2013.06.27 |
군대리아 실제 군대에서 나오는 군대리아 구성 (0) | 2013.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