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를 내 편으로 만드는 방법 - yes를 끌어내는 방법
상대방에게 나에 대한 호감을 이끌어내거나 나에 대해서 좋은 말을 해주기를 바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평판을 올리고, 또한 상대방에게 나에 대한 호감과 신뢰 그리고 좋은 평가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오늘은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상대를 내 편으로 돌아서게 하는 방법, 만난지 얼마되지 않은 사람과도 친해지고, 나에 대한 좋은 평가등을 널리 알리는 사람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최종적으로 yes를 이끌어내는 방법까지도 말입니다.
■ 선물과 경조사를 잊지않는것은 내 사람을 만드는데 좋은 아이템
생일, 명절, 각종 날에 잊지않고 선물을 주는 행동은 상대방을 내편으로 만드는데 정말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술자리에 있어서도 숙취해소 음료를 건내주거나, 집에가는 길에 대리비를 내 주는 등의 적잗한 배려와 선물들은 상대방의 마음을 돌리는데 좋다고 합니다.
이렇게 챙겨주게되면 상대방은 보담을 해야할 것 같은 의무감등을 가지게 되고, 이런 의무감들이 쌓여서 나에 대한 좋은 말을 해주거나, 내가 부탁한 일에 "YES"를 이야기하게 됩니다.
※ 인간관계에서 경조사는 꼭 챙기라는 이야기 역시 같은 이유입니다.
■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데는 사람의 신뢰성과 권위 위치가 가장 중요
말하는 사람의 권위. 그리고 그것을 나타내는 외향적인 부분이 사람을 설득하는데 60%이상으로 중요하다고 합니다. 전문가라고 느껴지게 만드는 사람의 말은 그만큼의 힘이 있다는 이야기죠.
그래서 평상시에도 전문가라는 것을 표현하고, 자신의 지식이나 이런것들에 대해서 어필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전문가다운 복장을 취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러한 사람의 신뢰와 권위를 보여줄 수 있는 것은 크게 중요합니다.
- 내가 그 일에 대해서 전문가란 인식을 심어주는 것만으로도 60%는 설득이 진행된 상황이라고도 합니다.
■ 내가 스스로 선택한 일이라고 믿게 하는 것도 필요
사람들은 내가 직접 선택했다고 판단하는 일에 더욱 애착을 가지게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YES의 상황을 만들더라도 최종적으로 결정을하거나 승인을 하는 것, 그리고 선택을 하는 것은 본인이 스스로 진행하게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이렇게 스스로 선택했다는 생각이 드는 일들은 다른 일들보다 후회하는 일이 적고, 취소하는 일이 적다고 합니다.
- 상대방에게는 정확한 정보, 긍정적인 정보등을 제공하고, 비교를 통해서 확실하게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주고 상대방에게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선택을 하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외모를 잘 가꾸고, 옷을 잘입는 것은 크게 중요한 일
편하겐 좋다고 편하게만 차려입고, 수염이나 의복등을 정갈하게 하지 않는다면, 이는 좋지 않습니다. 이런 모습은 상대방에게 나를 무시하는 행동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크게는 상대방에 대한 신뢰감을 완전 잃어버리기도 합니다.
깔끔하고 정갈하고, 신뢰를 주는 외향을 가꾸는 것은 정말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 나는 자유분방함을 좋아하고, 격식, 허례를 싫어한다고 그렇게 진행하는 것은 피해야합니다.
■ 사람들은 대수의 편에 속하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많은 사람들이 선택한 행동을 보고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려고 합니다.
그결과 대다수의 사람들은 다수의 결정을 답습하게 되죠. 이러한 것은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것을 의식하게되니까요.
이런 심리를 생각해서 "가장 많이 팔리는" "가장 많이 팔렸던" 이러한 것을 어필하는 것이 좋으며, 다른 사람들이 선택했던 결과등을 명확하게, 두리뭉실하지 않은 명확한 수치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정보 모음 > 육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화를 시작하는 방법 - 대화 이끌기 (0) | 2014.06.23 |
---|---|
자녀를 삐뚤어지게 하고 망치는 부모님의 말과 행동들 (0) | 2014.06.21 |
아빠가 아이와 놀아주는 방법 - 아빠와 아이가 함께하는 놀이방법 (0) | 2014.06.09 |
자신감 있게 말하는 법 - 용기와 자신감을 만드는 방법 (0) | 2014.06.01 |
거짓말하는 부모님 속이는 선생님 아이들에게 좋은 교육자가 될 수 없다 (0) | 2014.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