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자녀를 둔 부모의 대화하는 방법
많은 부모님들은 자녀와 대화를 하는 것이 서툴 수 있습니다.
직장에 일을 하는 등 여러가지 이유로 아이를 볼 수 있는 시간이 짧을 수도 있고 어렸을 때 부모님과 대화를 자연스럽게 나누었던 경험이 부족했기 때문일수도 있겠죠.
그래서 여러가지 이유로 대화를 제대로 이끌어가지 못하고 부모님과 자녀의 사이를 멀어지게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님과의 식사시간을 싫어하는 아이"
밥을 먹을 때 직장의 상사가 업무에 대해서 물어보거나 빨리 해야하는 일에 대한 독촉을 하면 기분이 어떨까요? 근데 이와 비슷한 행동들을 자녀에게 똑같이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밥을 먹고 있는 아이에게 "숙제는 했냐?" "성적표는 나왔냐?""이번에 시험 본 성적표 가지고 와봐."" 등등의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을 주제를 이야기하거나 확인하려고 하기 때문에 자녀들은 부모님과의 식사시간이 정말 싫어지게 되는 것이죠.
- 이런 일이 반복되면 아이는 성인이 되어서도 부모님과의 식사를 싫어할 수 있습니다.
"양방통행이 되는 대화를 시작하세요"
대화는 통보나 점검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상대방의 이야기를 충분히 들어주고 나도 그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말이 이치에 맞지않거나 잘못되었다고 하더라도 말을 끊지않고 충분히 다 듣고 난 다음에 그 것을 지적하는 것이 좋습니다. 말을 끊게 되면 아이는 말을 해도 중간에 끊어진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대화하려 하지 않으려 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말이 틀렸을 때에는 그 것에 대해 비난하거나 화내려고 하지 말고 그 것이 틀린 이유를 설명하고 잡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할 때만 대화하는 것은 금물"
'이야기를 하자'라고 불러서 하는 부모님의 이야기는 대부분 통보나 어떠한 사안에 대한 비난이나 충고인 경우가 많죠.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부모와의 대화는 나에게 좋지않은 일이 된다는 것을 느껴서 되도록이면 피하려고 하게 됩니다.
하고 싶은 말이 있을 때만 따로 불러서 대화하는 것은 되도록이면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야기 꺼리가 없으면 여러가지 경험을 같이 하세요."
뭘 이야기해야할지 모르겠다면 같은 경험을 하세요. 같은 책을 읽거나 같은 영화를 보러가거나 같은 음식을 먹거나 여행을 떠나거나 하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같은 주제로 이야기할 수 있는 일들이 생겼기 때문에 대화의 쉽게 진행이되고 보다 좋은 기분좋은 대화시간이 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정보 모음 > 육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를 영제로 만들려는 것은 아이를 망치는 지름길 (0) | 2017.10.18 |
---|---|
이혼을 아이에게 어떻게 이야기해야할까? (0) | 2017.09.30 |
미운 다섯살 일곱살 이 시기는 왜 생기는 것일까? (0) | 2017.09.14 |
2세 3세 아이들의 언어발달에 도움이 되는 책 고르는 법 (0) | 2017.08.27 |
아이들은 왜 스마트폰에 빠지는 것일까? (0) | 2017.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