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안구건조증의 원인 및 예방법




요즘 젊은 층에서의 스마트폰 사용의 빈도수가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때무에 여러가지 좋지 않은 신체의 변화가 존재하는데, 그중에 대표적인 것이 안조건조증과 노안의 촉진이라고 이야기가 되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스마트폰의 사용자의 경우 눈이 침침하거나 뻑뻑하거나하는 증상을 보이는 분들이 많으며 시력이 저하된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하는 분들도 점점 늘어가고 있습니다.




■ 안구 건조증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하거나 눈물 구성성분의 균형이 맞지 않아서,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눈이 시리고 자극감, 이물감, 건조감 같은 자극증상을 느끼게 되는 눈의 질환을 이야기 합니다.


특히나 건조한 계절, 그리고 난방등으로 더욱 안구건조증으로 고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안구가 건조하게되면 눈시림, 이물감, 통증, 피로감, 출혈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의 사용시에 안구 건조증이 생기는 이유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을 집중해서 보다보면 눈깜빡임의 횟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15회정도 깜박거리게 되지만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을 집중하다보면 5회이하로 눈깜빡임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요즘에는 특히나 스마트폰 게임이나 영상등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이렇게 눈깜빡임이 줄어드는 시간도 길어졌다고 합니다.


눈을 깜빡이는 것은 안구의 이물질을 씻어내고 촉촉하게 보호해주는 역활을 하는데 이것의 횟수가 줄어들면서 눈이 심하게 건조하게 된거죠. 특히 가을철 겨울철의 건조한 공기속에는 더 크게 느껴지게 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 스마트폰으로 인한 안구 건조증 예방방법


- 건조한 실내는 스마트 폰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경우에도 안좋습니다. 습도를 맞춰주세요

-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을 하지말고, 사용하더라도 너무 가까이서 보지 앟습니다.

- 눈을 자주 깜빡여주세요. 의도해서라도 깜빡 거리는 것이 좋습니다.

-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줄이고, 짧은 시간을 보는 것이 좋습니다.

- 물을 충분히 마셔서 체내에 수분이 충분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증상이 심해지면 안과를 찾아서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외에도 눈에 좋은 여러가지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시력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지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영화나 장시간 시청해야할 부분은 tv등이나 큰 모니터로 멀리서 지켜보는 것이 시력을 보호하는데 좋습니다..


안조건조증 외에도 스마트폰 사용은 노안을 촉진 시킬 수 있다고 하니, 장시간의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728x90
Posted by 고양이네집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