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전에 TV보면 스마트폰 보면 안되는 이유 - 수면장애 수면부족
현대인의 수면부족의 원인.
바로 TV나 스마트폰의 사용이라고 합니다.
요즘은 스마트TV나 휴대폰에서 드라마나 영화를 볼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많아지고 있으면서 더욱 더 수면부족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수면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 침실에 TV를 두지 않아야한다거나 스마트폰으로 영상등을 보지 말아야한다고 이야기하기도 하는데요, 왜 그런지에 대해서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수면시간을 1~2시간을 줄이는 좋지않은 습관"
요즘 넷플릭스나 유튜브의 방대한 영상 중에서 어떤 것을 자기 전에 보고 찾는다고 한 30분이상을 검색하거나 1~2분의 짧은 영상을 보고 취소하는 분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가능한 자기 전에 재미있거나 볼만한 영상이 있을지 찾기 위해서 이렇게 영상들을 재생하고 취소하고 재생하고 취소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이렇게 많은 것을 찾고 보고 취소하는 이런 시간들은 생각보다 길다고 합니다.
또 찾다가 정말 재미있는 드라마나 영화 혹은 동영상을 찾게 되면 이 것을 보면서 수면시간은 더 짧아지게 된다고 하는데요,
이 시간은 생각보다 길며 사람에 따라 1~2시간 정도 소요된다고 합니다.
자기전의 자극적인 영상 화려한 영상은 잠이 드는데에도 방해가 됩니다.
번쩍 번쩍하는 영상을 보거나 자극적인 내용의 영상을 보게 되면 뇌가 자극이 되면서 잠이 깨게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잠을 자는 것이 힘들어지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될 수 있습니다.
TV 등를 틀어놓고 잠들게 되는 것도 문제인데요.
자는 동안 화면의 번쩍거림이나 소음이 지속적드로 들리게 되면 깊은 잠에 빠지는 것이 힘들어지게 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수면부족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빠 안잔다"라고 이야기되는 농담같은 상황들도 TV의 번쩍임과 대사/소음 등으로 깊게 잠들지 못하기 때문에 작은 움직임이나 소리에도 잠에서 깨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정보 모음 > 건강/미용/다이어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업무스트레스를 줄이는 요령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5.05 |
---|---|
환절기 몸살 감기 빨리 낫는 방법 (0) | 2020.04.29 |
소화장애 원인 - 증상이 발생했다면 나의 일상을 파악해보자 (0) | 2020.04.24 |
파마 염색 후 두피가려움 어떻게 해결해야할까? (0) | 2020.04.21 |
알콜중독 폭언과 폭력으로 인한 이혼소송 가능여부 및 방법 (0) | 2020.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