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를 하고 난 뒤에 얼굴이 붉어지는 일이 없으려면 미리미리 이사를 잘 준비해야한다고 합니다.
이사 후 발생하는 가전제품의 이상이나 분실 이런 것들에 대해서 제대로 대비를 하고 믿을 수 있는 업체를 통해서 진행을 해야만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하지 않으며, 만약 이런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보상을 제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읿부의 업체들은 당일에 추가금을 요구하거나 하는 문제도 적지만 있을 수 있다고 하니 이런 부분들도 주의해야죠.
높은 비용을 지불하고 진행한 포장이사, 당연히 제대로 된 곳들을 이용하고 또 그런 곳들을 이용했더라도 잘 알아보고 조심을 해야만 이런 문제들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허가업체인지 알아보고 꼭 방문견적을 받아야합니다.
허가를 받은 업체를 통해서 진행을 해야합니다.
허가를 받은 업체는 -이사허가종합정보- 사이트에서 업체 검생을 통해서 쉽게 확인을 할 수 있는데요, 이 곳에서 내가 견적을 받을 업체나 혹은 받은 업체들의 정보가 맞는지 등에 대해서 확인을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업체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들을 확인을 한다면 가장 기본적인 허가업체 여부를 확인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는 예방할 수 있게 됩니다.
견적은 꼭 방문견적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즘 온라인으로 사진이나 평수 등을 보고 진행하는 곳들도 있는데 이런 곳은 정확하지 않고 추후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방문견적보다 높습니다.
방문견적을 받을 때에는 꼼꼼하게 받는 것이 좋은데요,
특히나 주요 물건들의 상태나 이사에 대해서 명확하게 알아보고 궁금한 부분들은 물어보면서 체크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 비용에 대해서도 미리 확인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이사업체들이 받아주지 않는 이삿짐들도 있는데요, 85인치가 넘어가는 TV나 큰 사이즈의 안마의자 등등은 크기가 너무 크거나 혹은 분해조립을 하는 것이 힘들어서 사설업체나 혹은 안마의자 업체의 서비스를 받아야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런 것들을 꼼꼼하게 체크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물건들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체크를 하면서 견적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견적을 여러곳을 받거나 믿을 수 있는 곳을 통해서 받아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약서를 쓸때에는 더욱 더 꼼꼼하게 진행을 하세요.
이삿짐의 주요 품목이나 이런 것들을 체크를 꼼꼼하게 하고 차량이나 작업인원 등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하고 추가금이 없는 계약서를 작성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비용에 대해서도 확인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계약서에는 없지만 구두로 해주겠다는 것을 믿으면 안되면 계약서에 적어달라고 하세요. 그리고 추가금이 없는 계약서를 작성해달라고 요구하거나 추가금 없음 등을 적어달라고 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계약서에 기제된 금액 외에도 엘리베이터 이용요금 등 기타 요금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것들도 미리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해도 이사 당일에 어떻게 이사가 진행될지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포장이사를 완벽하게 해준다고 하더라도 직접 이사하는 곳에서 지켜보거나 중요한 부분들을 체크하면서 확인해야만 합니다. 알아서 한다고 하지만 이사 장소에 없으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없고 대처할 수 없기 때문에 큰 손해나 분실로 인한 문제가 해결이 제대로 안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문제가 생겼을 경우 동영상 사진 등을 촬영하면서 이삿짐의 상태나 책임에 대해서 명확하게 답을 들어야만 나중에 문제 해결할 때 제대로 빠르게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이 상황에 대해서 피해 내용에 대한 확인서를 요구하는 것도 필요한 일입니다.
■ 알아서 잘 해드린다고 하더라도 이사를 하는 곳에서 감시를 하는 것이 정말 중요한 포인트.
※ 고가의 상품이나 귀중품 등은 미리 따로 챙겨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사를 하는 것은 예전보다 쉬워졌죠.
그래도 이사는 이사. 준비할 것도 많고 조심해야할 것도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믿을 수 있는 곳을 통해서 진행을 하는 것이 좋고 견적이나 계약도 꼼꼼하게 살펴보고 하는 과정들이 반드시 필요한 일입니다.
그리고 요즘은 이사업체들이 옮기지 못하는 전자제품들이 많기도 하고 컴퓨터와 같은 것들은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런 것들은 잘진행을 할 수 있게 주의를 요구하거나 혹은 본인이 안전하게 옮기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
'정보 모음 > 생활/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이사 견적 언제부터 준비해야할까? (0) | 2024.06.11 |
---|---|
포장이사비용 줄이는 3가지 방법 (0) | 2024.02.20 |
춥고 눈오는 겨울 이사 어떻게 준비해야할까? (0) | 2023.11.23 |
종교에 빠진 배우자, 종교를 강요하는 것은 이혼사유가 될까? (0) | 2023.11.04 |
거짓말을 하는지 알아보는 법 - 어떻게 알 수 있을까? (0)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