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성장시기에 맞는 적기교육을 추천하는 이유




예전에는 아이들의 조기교육이 열풍이였죠.

어린 아이에게 영어를 가르치게 하고 초등학생에게 중학교 공부를 시작하게 하는 등 빨리빨리 아이에 공부를 하게하는 것이 유행이였고, 가능하면 학교도 빨리 보내려고 했었죠.


요즘은 이렇게 하는 것이 그렇게 좋지않다는 것을 아는 분들이 이렇게 아이가 버틸 수 없는 선행학습을 하기보다는 제 시기에 필요한 학습을 하게하는 방법으로 교육을 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아이를 "공부하게"하지 않고 "성장"하게 하는 방법


라고도 이야기하는데요, 아이가 성장하고 발달하는 과정과 관심에 맞춰서 여러가지 교육을 하게하거나 체험을 하게하면서 아이가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 어떤 것에 흥미를 가지고 집중을 하는지에 대해서 관찰을 하면서 아이가 스스로를 발견하고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식의 교육방법입니다.


많은 것에 호기심을 가지는 아이들에게 그 기회를 제공하고 자기의 재능과 특기를 찾고 스스로 즐거워하는 일을 찾게 하기 때문에 아이들의 창의력과 재능을 개발하고 스스로의 행복을 찾게 하는 방식이라고도 합니다.





■ 제 때에 하는 교육은 부모님의 관찰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자라면서 관심을 보이고 흥미를 보이는 그 시기가 바로 그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자녀가 그림을 그리는 것에 흥미를 보인다면 자연스럽게 그림을 그릴 수 있게 준비를 해주는 것이 좋으며, 자녀가 음악을 좋아하면 많은 음악을 듣게하거나 그 것을 연주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흥미를 보이는 기 시기에 그 것을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게 도움을 주고 자녀가 그 것을 더 즐겁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체험하거나 경험하지 못했던 일들을 경험할 수 있게 노력하는 것이 좋은데요, 캠핑이나 체험학습 등을 통해서 아이의 상상력을 키울 필요가 있습니다.





■ 자녀발달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아이들의 성장하면서 변화되는 시기와 두뇌 발달에 대한 시기 등을 공부하고 알아두어야만 아이의 반응에 잘 대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아이들의 성장에 개인차이가 있다는 것도 알 필요가 있고 아이의 반응에 대응하는 방법들도 알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만 아이가 어떤 일에 흥미를 보일 때 그 것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진행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 심한 거부감을 표시한다면 포기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싫어한다는 표현을 했는데도 돈이 아깝거나 다른 집 아이들도 배운다는 이유로 강제적으로 하게 하는 것은 좋지않습니다. 강제적으로 아이를 배우게 만드는 것 또한 부모님의 욕심이며 아이를 위한 학습은 아니기 때문이죠.

728x90
Posted by 고양이네집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