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 세가지를 알아보자
고속버스나 비행기와 다르게 기차에는 안전벨트가 없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왜 기차에만 안전벨트가 없는 것일까? 하고 궁금해하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기차에 왜 안전벨트가 없는지에 대해서 한번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요약을 하면 기차에 안전벨트는 없는 것이 나은 장치이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첫번째, 기차가 아주 많이 무겁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기차의 무게는 각각 다르겠지만 대략적인 차체의 무게를 봤을 때 400~500톤. 기본적으로 차량의 앞에 자동차나 쓰러진 작은 나무 등이 있다고 해도 기차에는 충격이 크게 전해지지 않습니다.
기차의 중량이 무겁고 단단하기 때문에 충격이 있을 때 안전벨트를 하지 않아도 기차가 모든 충격을 받아내기 때문에 사람은 충격을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우리가 달리다가 낙엽과 같은 것에 부딧쳤을 때나 작은 돌이 발에 걸렸다고 넘어지거나 충격을 받지 않는 것처럼 말이죠.
두번째, 기차의 제동거리가 길기 때문입니다.
차량의 경우에는 급제동을 했을 때 빠르게 멈춰져서 사람이 앞으로 튕겨나가게 되지만 기차의 경우 사고가 발생하고 제동을 한다고 하더라도 빠르게 멈추지 못하기 때문에 제동거리가 길게 됩니다. 제동거리가 길게 된다는 것은 사람이 멈춤의 여파로 앞으로 쏠리지 않는다고 하네요.
기차의 급제동 거리가 대략 3Km 정도 된다고 하니 안전벨트가 없어도 튕겨나가거나 충격을 크게 받게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세번째, 기차사고 시 빠른 구조와 대피를 위해서라고 합니다.
기차의 사고는 탈선으로 인한 사고나 충돌로 인해서 차량이 찌그러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안전벨트가 있으면 구조가 늦어지게 될 수 있습니다. 또 한 차량이 찌그러지면서 압사를 당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안전띠에 사람이 고정 되어 있으면 더 큰 사고로 이어지게 될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또 사고가 났을 때 구조작업이 빠르게 진행되기 위해서나 빠르게 대피하기 위해서는 안전벨트가 없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철도에 안전벨트는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정보 모음 > 생활/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부싸움을 잘 하는 방법을 알아야 좋은 결혼생활이 된다 (0) | 2018.07.10 |
---|---|
귀농 혹은 귀촌을 준비하는 분들이 읽으면 좋을 주의사항 (0) | 2018.06.04 |
컴플레인 불만접수를 현명하게 하는 요령을 알아보자 (0) | 2018.03.12 |
사람관계에 밀당이 꼭 필요할까? (0) | 2017.12.02 |
반려견이 다른 개의 엉덩이 냄새를 맡는 이유는 (0) | 2017.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