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적인 우리 아이를 키우는 방법2 - 사회성을 길러주는 방법
내성적인 아이를 키우는 방법 1에서는 부모의 자세와 같은 부분, 아이를 키우는데 공통적으로 알아야하는 교육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진행했습니다.
저번시간에 이야기한 것은
1. 아이를 너무 과보호하지 않아야한다
2. 아이의 때쓰지 않게 하는 것과 잘못을 훈육하는 방법
3. 칭찬하는 방법
등 부모님들이 육아를 진행할때기본적으로 알아야할 부분입니다.
오늘은 내성적인 아이를 사회에서도 많은 사람들과 잘 어울릴 수 있게 사회성을 길러주는 방법등에 대해서 이야기를 진행해볼까합니다. 아마 많은 부모님들이 알고싶어하는 부분이 아닐까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성을 길러주는 방법들도 부모님이 가져야하는 기본적인 것들이 형성이 되지 않으면 효과를 보기 힘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사회성을 기르는데 필요한 정보를 적어볼까합니다.
1. 아이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주제에 대해서 민감하자
2. 아이들과의 만남을 많이 가지게 하자
3. 말하는 훈련, 그리고 듣는 훈련을 하자
4. 모범이 되는 부모님이 되자
그 나이대의 아이들이 관심을 가지는 것에 부모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들이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에 관심을 가지는지 알 필요가 있고, 아이에게 들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요즘 부모님들은 아이들의 관심분야나 교육등을 자신의 방식으로 유도하려고만 하는 분도 계신데, 이렇게 강한 규제와 압박은 아이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가지고 올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전부 TV 프로그램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데, 아이는 그런 이야기를 모르게되면, 그 대화에서 벗어나게 되고 대화에 끼지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뛰어놀고 친하게 지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줘야합니다.
요즘 아이들은 학교를 마치고나면 집에서 혼자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형재가 없는 경우도 많고, 놀이터에도 친구가 없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아이들은 혼자서 시간을 많이 보내게 됩니다.
그럴때는 몸을 쓰는 체육관, 학원, 태권도학원을 보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래의 아이들도 많고, 형, 누나와 동생들도 많은 곳이라 사회성을 배우는 것에 가장 좋은 장소라고도 이야기합니다. 아이들의 체력단련과 함께 여러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고 친해지는 기회를 만들어주세요.
아이들에게 말하는 방법과 듣는 방법을 가르쳐주세요.
그냥 필요한게 있으면 때를쓰거나 사달라고 조르게 하지말고,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야기하게하고, 그렇게 이야기할 수 있게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 어릴때부터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을 배워야 어휘력등이 늘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듣는 방법을 가르쳐 주어야합니다. 서로 많은 이야기를 하기 좋아하는 아이도 인기가 많지만 잘 듣는 아이들도 많이 좋아하는 아이 중 하나입니다.
그래도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님의 솔선수범입니다.
자녀들은 부모를 가장 많이보고, 오래보고, 가장 사랑하기때문에 가장 많이 닮죠. 자녀들에게 어떠한 것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부모님들이 먼저 선행을 하는 것이 가장 좋고, 그것을 아이가 지켜보고 따라할 수 있게 옆에서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인간관계도 마찬가지 입니다. 먼저 인사하고, 친하게 이야기하고, 친절하게 대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아이들도 보고 배우며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양보하고 배려하는 행동을 배울 수 있지 않을까합니다.
내성적인 아이들의 사회성을 키우는건 먼저 아이를 사회에 두고 적응하는 것을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들이 그 무리에 어울릴 수 있게 돕고, 아이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서 아이들의 상황과 마음을 늘 관심있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개입해야할 부분은 개입하고, 아이들과 여러가지 트러블이 일어날때는 바르게 해결해주는게 부모님이 해야할 부분이 아닐까합니다.
※ 아이의 상태가 좋지않은 것 같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빠르게 진행하는 것도 필요한 일입니다.
'정보 모음 > 육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인상의 효과 - 첫인상을 좋게하는 방법 간단한 요령 (0) | 2014.04.24 |
---|---|
자녀는 부모를 보고 습관 폭언 가정폭력을 닮는다 (0) | 2014.03.23 |
내성적인 우리 아이를 키우는 방법 - 부모부터 바뀌어야 한다 (0) | 2014.03.17 |
거절 못하는 사람 거절에 취약한 유형의 성격이 있다 (0) | 2014.03.15 |
거칠고 과격한 공격적인 아이 원인은 부모의 문제 (1) | 2014.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