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좋아하는 분들은 약을 먹으면 안되서 술을 끊는것이 아니라 약을 안먹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런 분들은 감기에 걸렸을때 의사분에게 매번 "술은 언제부터 마셔도 괜찮은지?" 물어보기도 한다고 하죠. 이렇게 물어보고도 집에 와서 술약속 때문에 나가서 술을 마시기도 하는데요.
이렇게 아플 때 술을 마시게 되면 잘 낫지 않고 몸이 더 힘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감기에 걸렸을 때 술을 왜 마시면 안되는지, 술을 마셔야하면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술마시면 안되는 이유
알코올이 몸에 들어가게 되면 아픈 것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알코올이 염증을 더 심하게 만들거나 혹은 낫는 것을 더디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몸이 아픈 것에 숙취까지 더해지게 되면 그 고통은 엄청날 수 있으며 몸살이 찾아올 가능성은 매우 높은 편입니다.
감기로 인해서 떨어진 컨디션에 알코올에 의한 수분부족이나 위장과 간의 기능이 낮아지게 되면서 몸 상태가 최악이 되고 이런 몸상태는 감기를 더 심하게 만들기 때문에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감기약을 먹는 분들이 술을 마시면 이런 문제는 더 심해질 수 있는데요, 감기약을 먹게 되면 간에 부담이 어느정도 가게 되는데, 여기에 술까지 더해지게 되면 간의 부담이 매우 커지게 되면수 문제가 될 수 있기도 합니다.
술을 마셔야한다면?
술을 꼭 마셔야 한다면 "약을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위에서 이야기를 한 것처럼 약을 먹게 되면 간에 부담이 되고 이 상황에서 술을 마시게 되면 간의 부담이 매우 커지게 되면서 간에 손상이 오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술을 마셔야하는 상황이라면 약을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약을 먹었다면 하루 정도는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약마다 내 몸에 흡수되고 약이 유지되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약을 먹은 후 하루정도는 약을 먹지 않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피할 수 없는 술 약속이 예정되어 있다면 약을 먹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술을 마신 뒤 언제 약을 먹어야 할까?
이는 마시는 술의 양에 따라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하루는 지난뒤에 먹는 것이 좋으며 과음을 했다면 하루 이상이 지난 뒤에 약을 먹기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알코올이 몸에서 어느정도 배출되는데에는 마시는 술의 양에 따라 다른데요. 소주 1병은 성인 70kg 남자기준 4시간 정도 성인 60kg 여성기준 6시간 걸리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완전히 몸에서 알코올이 배출되고 해독이 되는데에는 대략 2일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만큼 약은 술자리를 가진 다음 마시는 술에 양에 따라서 다르지만 최소 24시간이 지난뒤에 약을 먹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마시는 술의 양이 너무 과도하게 많은 수준이라면 하루 이상 더 지난뒤에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정보 모음 > 건강/미용/다이어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대 남자 암보험 어떻게 가입해야 될까요? (0) | 2023.10.19 |
---|---|
아침에 커피마시면 배변신호가 와서 급똥을 하거나 설사하는 이유 (0) | 2023.10.17 |
직장인 스트레스 해소에 왜 빨래와 설거지가 도움이 될까? (0) | 2023.10.11 |
[짜게 먹으면 살찐다] 외식 배달음식 먹은후 갑자기 체중 늘어나는 이유 (0) | 2023.10.07 |
새벽에 잠에서 깼을 때 다시 잠드는 요령 (0) | 2023.09.29 |